중견기업 절반 이상 "올해 투자 계획 無"…투자해도 '규모↓'
상태바
중견기업 절반 이상 "올해 투자 계획 無"…투자해도 '규모↓'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견련 "'불확실한 시장 상황', '경영 실적 악화' 등 급격한 대내외 환경 변화에 우려"

컨슈머타임스=김예령 기자 | 한국 경제의 허리를 담당하는 중견기업의 절반 이상이 올해 투자 계획이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투자 계획이 있다는 중견기업들도 규모를 전년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줄이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21일 한국중견기업연합회(이하 중견련)에 따르면 지난해 11∼12월 중견기업 800곳을 대상으로 '2025년 중견기업 투자 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올해 투자 계획에 관한 물음에 응답자 49.6%는 '있다'고 답했으나 50.4%는 '없다'고 했다.

투자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그 이유로 불확실한 시장 상황(38.2%)과 경영 실적 악화(19.6%) 등 급격한 대내외 환경 변화의 우려를 나타냈다.

투자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 49.6% 중 '작년보다 투자 규모를 늘리겠다'는 응답은 41.5%에 그쳤다. '전년 수준으로 유지하겠다'는 35.8%, '투자 규모를 줄이겠다'는 22.7%로 집계됐다.

올해 투자 규모를 줄이겠다고 답한 중견기업은 그 이유로 △내수시장 부진(40.0%) △경기 악화 우려(24.4%) △생산 비용 증가(10.0%) △고금리·자금조달 애로(7.8%)를 꼽았다.

투자 확대를 계획한 중견기업은 △주력사업 확장(35.7%) △신사업 진출 강화(26.7%) △해외 시장 진출 확대(17.0%) △노후 설비 개선·교체(11.5%) 등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투자 계획이 있다고 답한 기업 중 '해외 투자 계획'이 있는 기업은 19.6%에 그쳤다. '국내 설비 투자 계획'은 70.0%, '국내 연구개발(R&D) 투자 계획'은 37.0%로 집계됐다.

중견기업의 투자 확대를 견인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세제 지원 확대(38.0%) △물가 안정 및 내수 활성화(21.6%) △금리 인하(20.1%) △정책금융 강화(8.5%) △노동 등 경영 환경 개선(8.5%) 등이 꼽혔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중견기업의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정책금융의 문턱을 과감하게 낮추고 노동, 환경, 세제 등 법·제도 환경을 시급히 개선해 중견기업의 장기 투자 여력을 실효적으로 확충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