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상승률 2%…4년여 만에 최고
[컨슈머타임스 김수정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로 4년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2.0% 올랐다. 이는 2012년 10월(2.1%) 이후 4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지난해 5월부터 0%대를 유지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월 이후 4개월 연속 1%대 상승률을 이어가다 지난달 껑충 뛰어 2%대가 됐다.
조류인플루엔자(AI)에 따른 달걀 수급난이 가격에 반영되면서 달걀값이 대폭 뛴 게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달 달걀값은 1년 전보다 61.9% 뛰었다. 지난해 12월(8.7%) 상승폭의 7배다.
달걀 외에도 무(113.0%), 배추(78.8%), 당근(125.3%) 등 농∙축∙수산물 가격이 들썩였다. 이에 전체 농∙축∙수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8.5% 올라 전체 물가를 0.67%포인트 끌어올렸다.
국제유가 반등 여파로 그간 물가 안정세에 기여했던 석유류도 1년 전보다 8.4% 오르며 전체 물가를 0.36%포인트 끌어 올리는 역할을 했다.
석유 가격이 상승하면서 교통, 공업제품 등 관련 물가도 줄줄이 대폭 올랐다.
교통물가 상승률은 3.8%로 2012년 6월(4.2%) 이후 최고 인상폭을 기록했고 지난해 1% 이하 상승률을 보이던 공업제품은 1.6% 뛰었다,
서비스물가는 2.2% 상승해 전체 물가를 1.21%포인트 상승시켰다.
전기∙수도∙가스는 8.3% 하락하며 전체 물가를 0.35%포인트 끌어내리는 효과를 냈다.
농산물∙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5% 올랐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는 1.7% 올랐다.
식품 등을 포함한 생활물가는 2.4% 올랐다.
이는 2012년 2월(2.5%)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특히 식품이 4.4% 오르면서 생활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상승률은 5.3%로 2012년 4월(5.3%)과 같은 수준을 보였다.
소비자들이 자주 구매하는 채소, 과일 등의 물가인 신선식품지수는 12.0% 올랐다.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9월부터 두 자릿수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신선채소가 17.8% 오르면서 신선식품 물가 상승률을 견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