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컨슈머타임스 한행우 기자] 세탁 프랜차이즈 크린토피아(대표 이범택) 일부 지점의 부실한 서비스와 불친절한 소비자 응대가 빈축을 사고 있다.
세탁물 오염이나 훼손과 같은 문제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지만 본사 차원의 개선책이 사실상 실종된 상태라 추가 피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 드라이크리닝 부탁했더니 물세탁… 해결에 두 달 걸려
12일 제보에 따르면 직장인 성모(서울 강남구)씨는 두 달 전 크린토피아 포이지점에 95만원 상당의 맞춤이불을 맡겼다 낭패를 봤다.
세탁물을 맡길 당시 물빨래를 하면 안 되는 제품이라며 드라이크리닝을 당부했지만 세탁물은 물빨래가 된 상태로 망가져서 돌아왔다.
업체 측이 실수를 인정하고 보상을 받기 까지만 두 달의 시간이 걸렸다.
시중에서 유사한 새 이불을 맞추려면 대략 130만원의 비용이 들지만 세탁을 맡긴 이불을 2년 동안 사용한 탓에 구입 당시 가격의 70%가량에 해당하는 금액에서 만족해야 했다.
성씨는 "큰 업체라 믿고 맡겼는데 이런 경우 본사 차원에서 신속하게 문제가 처리되는 등의 서비스가 필요한 게 아니냐"고 불만을 토로했다.
크린토피아는 세탁전문기업으로 120개의 지사와 1950개의 대리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작년 한해 매출만 1500억원을 넘어서는 등 업계 1위를 지키고 있다.
문제는 업체의 규모에 걸맞지 않게 세탁물 관련 소비자 피해가 꾸준히 발생한다는 점이다.
세탁을 맡긴 뒤 옷감이 훼손되는 등 성씨와 유사한 세탁물 사고 사례는 온라인 커뮤니티,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등에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크린토피아 안티 카페가 개설돼 운영되고 있을 정도다.
불만 내용은 △세탁물 훼손 및 오염 △세탁 서비스 불만족 △세탁물 분실 △점원 불친절 △피해 보상 불가 등이 주를 이룬다.
심지어 크린토피아에 우호적이지 않은 내용의 이용후기에 대해 업체 측이 명예훼손이라며 게시글 중단요청을 한 사례도 포착됐다.
상황이 이러한데도 본사는 세탁물 사고는 지사와 해결할 일이라며 한 발 물러서 있는 상태다.
업체 측에 따르면 세탁물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기본적으로 대리점과 지사와 해결하는 게 원칙이며 피해보상이 이뤄질 경우에도 지사에서 돈을 모두 부담하게 된다.
기업의 이름을 믿고 맡긴 소비자 입장에서 답답함을 느낄 수 밖에 없는 대목이다.
◆ "세탁물 맡기고 찾을 때 하자 여부 확인해야"
크린토피아 관계자는 "서비스업의 특성상 고객불만이 많을 수밖에 없다"며 "세탁 서비스에 대한 기대치가 다 다르고 우리의 경우 업체의 규모가 커서 불만이 도드라져 보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잦은 불만에 대한 본사차원의 대응책을 묻는 질문에는 "소비자상담실을 운영하는 등 개선의 노력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공정거래위원회 세탁업 표준약관에 따라 세탁물에 하자가 있으면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의 배상액 산정방식에 따라 10%에서 95%까지 배상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세탁물 관련 피해사례가 늘어나는 만큼 제품을 맡기기 전과 제품을 찾을 경우 하자 여부를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